배너
        
데일리 창업뉴스 [창업아이템]

[창업아이템] 글로벌 브랜드, KFC 창업하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

페이지 정보

조회:621 등록일등록일: 2025-04-03

본문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금자탑을 쌓은 외식 브랜드로는 맥도날드와 함께 KFC를 들 수 있다. KFC는 여전히 전세계 패스트푸드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 중 하나로 프라이드 치킨이라는 카테고리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 글로벌 패스트푸드 대표 브랜드 

2024년 기준으로  KFC는 전 세계 150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3만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에서만 9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3500개 정도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KFC는 커넬 샌더스가 창업했지만 인수 합병을 거쳐 현재는 미국 켄터키에 위치한 얌브랜즈에 소속돼 있다. 타코벨 피자헛도 이 회사 소속이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8992_2125.png

◆국내에는 1984년 종로 1호점 오픈 

KFC가 한국에 상륙한 것은 1984년이다. 종로에서 1호점을 오픈했는데 당시 하얀 양복을 입은 할아버지인  커넬 샌더스의 모형은 종로의 상징으로 여겨질 정도였다. KFC는 한국에 진출한 이후에도 큰 성공을 거두어 한국 프라이드 치킨 시장을 주도했으나 BBQ를 비롯해 국내 브랜드가 성장하면서 점점 시장을 뺏기기 시작하고 사업이 약화되어 왔다.

2023년 얌브랜즈가 참여한 사모펀드 오케스트라PE가 KFC코리아로부터 사업권을 인수했다. 사업자가 바뀐 이후 KFC는 국내 진출한지 45년 만에 처음으로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 모집을 시작하기도 했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003_3053.jpg

사진=KFC

◆치킨, 버거 다양한 음료

KFC의 대표 메뉴는 창업자인 커넬 샌더스가 11가지 허브와 향신료로 만든 오리지널 치킨이다. 그 외에도 핫크리스피 치킨  징거버거 타워버거 등 다양한 인기 메뉴가 있다.

KFC가 다른 치킨 브랜드와 다른 점은 배달 외에 내점에 강하다는 것이다.

국내 치킨 브랜드에서 치킨을 즐기려면 마리 단위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한번에 2만원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KFC 매장에 가면  원하는 양만큼 치킨을 즐길 수 있다. 3000원대 치킨 통다리 한 조각부터 원하는 부위를 골라서 먹는 9000원대 메뉴, 1만원대 5조각, 2만원대 8조각 세트가 있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015_6398.png
 

◆창업비용은?

KFC 매장은 스몰 박스와 일반형. 두 가지 타입으로 창업이 가능하다.

스몰 박스형의 경우 가맹비와 교육비 계약이행 보증금이 4451만원이다. 일반형은 6573만원이다. 여기에 포함된 가맹비는 스몰 형이 2121만원, 일반용이 4243만원이다. 인테리어, 설계비, 주방 설비, 간판, 냉난방기 등 기타 기술 비용은 일반형이 5억1천만원대, 스몰박스형이 3억8천만원대다. 시공 관리비 와 초도 물품비는 두 모델 모두 1950만원으로 동일하다.


◆개설후 부담 비용은?

개설 이후에 가맹점 사업자가 부담해야 되는 비용은 월 로얄티가 매출액의 6%이다. 그 밖에 외부 감사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식당 운영 준법 감사에 대한 비용으로 연간 100만원대 비용이 지출되며, 소비자 경험 설문조사에 대한 비용이 연 23만원대, 가맹점 종업원들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플랫폼 교육 비용이 연 21만원대 이다. 이 외에도 오퍼레이션 앱 사용료가 연 11만원이다.

기타  메뉴 보드 컨텐츠 운영 및 BGM 운영에 따른 비용, 모바일 전자상품권 및 제품 교환권 수수료, 판촉 및 광고 분담금에 대한 부담이 있다. 각종 비용에 대한 미지급액에 대한 이자는 7일 이내 연 5%, 기한 후 8일 후부터는 연 20%가 적용된다.

한편 가맹 계약 연장이나 재계약 과정에서의 추가 부담금은 일반 매장은 2121만원이며 스몰박스는 일반 매장의 50% 수준이다. KFC의  가맹 사업 계약 기간은 5년이다. 가맹점 개설 시 매장 운영 교육은 8 주다.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이 평균 5 일, 일주일 정도 교육하는 것의 8배가 길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025_5634.png 

​사진=KFC 대전관저점  

◆매장 매출액은? 

KFC 전국 197개 매장의 평균 매출액은 12억7000만원이다.

서울 지역은 14억 2200만원대이고 부산은 11억원대, 인천은 12억원대이다.

KFC 가맹점 월평균 매출액이 약 1억원 인셈이다. KFC 가맹점의 매출액은 비비큐 교촌치킨 등 국내 브랜드와 비교하면 투자비  대비 매출액이 높은 편은 아니다.

다만 국내 브랜드의 경우 배달 매출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KFC의 경우 내점 매출 비중이 국내 브랜드에 비해 훨씬 높으므로 배달 앱 수수료에 따른 손실은 훨씬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KFC는 매월 셋째주에 KFC코리아  지하 1층 교육장에서 가맹사업 설명회를 가진다. 일정은 변동될 수 있으며 4월 17일 목요일에 설명회가 있을 예정이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038_1272.png
 

◆ 부자비즈 원포인트

점포구입비를 포함한 KFC 가맹점 총 창업비용은 스몰박스형과 일반형이 다르지만 적게는 5억원부터 많게는 1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브랜드인 만큼 운영 전반에 걸쳐 법을 준수하면서 체계적으로 경영하기 때문에 국내 브랜드에 비해 소소하게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도 많다. 로얄티도 월 매출 1억원일 경우 월 600만원에 달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KFC는 현재보다 매출을 훨씬 더 높여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의 단점 중 하나는 가맹본사의 운영 규칙을 철저하게 준수해야 하므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KFC코리아도 운영 당시 이런 점 때문에 자율적인 운영이 힘들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리스크도 커지기 때문에 가맹본사에서는 당연히 규칙에 대한 엄격한 준수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052_3158.jpeg
​사진=KFC 스몰박스형 

하지만 최근 외식업의 사업 환경이 급변하고 있고 KFC가 국내에서 월등한 브랜드 지위를 가지고 있던 과거의 상황과는 여러 가지 달라진 측면이 있기 때문에 KFC를 한국에서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이라는 역동성이 높은 나라 전체를 실험실로 생각하고 KFC의 혁신과 미래를 위한 여러 가지 도전과 실험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 맥도날드가 가맹점을 모집했다가 철회한 적이 있던 것처럼 가맹법이 전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대한민국에서 가맹사업을 하려면 주의해야 할 점이 많다.
3fc9278403feec82178145d99dbd32f4_1743669153_5894.png
​사진=KFC 홈페이지  

현재는 서브웨이같이 몸집을 줄이고 매장당 수익성을 높이면 성공할 가능성도 있다. 중상류층 창업자의 경우 수익성 못지않게 브랜드의 평판과 인지도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중상류층이 오토 매장으로 운영해도 될만큼 충분한 수익성이 나오도록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 

buza.biz

데일리 창업뉴스

전체기사
창업뉴스
창업트렌드
창업아이템
성공사례
전문가 칼럼
창업경영실무
프랜차이즈
전체뉴스
  • 구분 창업  경영  마케팅
  • 이 름
  • 연락처
  • 이메일
  • 상담
    내용
개인정보처리방침 동의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