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중장년 10명 가운데 6명은 알바 중
페이지 정보
조회:7,529 등록일등록일: 2022-05-16본문
중장년 10명 가운데 6명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으며, 이들 중 66.5%는 본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이른바 ‘N잡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벼룩시장은 40대 이상 남녀 653명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0.3%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16일 밝혔다. 35.5%는 ‘1년 이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으며, ‘아르바이트 경험이 전혀 없다’는 응답자는 4.1%에 그쳤다.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66.5%는 본업과 최소 1개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N잡러인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75.2%가, 여성은 56.5%가 현재 N잡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N잡을 시작한 시기는 코로나19 발생 이후(73.3%)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이 아르바이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 ‘돈’이었다. ▲추가 수입이 필요해서(38.7%)라는 답변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생계유지를 위해(25.2%) ▲용돈 마련을 위해(15.3%) ▲노후 준비를 위해(5.4%) 순으로 이어졌다. ▲은퇴 후 시간 여유가 생겨서(5.4%) ▲정규직 취업이 어려워서(4.5%) 아르바이트를 택했다는 응답자도 있었다. 이 밖에 ▲하고 싶었던 일을 경험해 보기 위해(2.6%) ▲가족 부양을 위해(1.6%) ▲사회 참여를 위해(1.3%) 등의 답변도 있었다.
중장년이 가장 많이 하는 아르바이트 업직종 1위는 ▲운전·배달·물류(택배, 대리운전, 배달 대행 등)(19.5%)였다. 다음으로 ▲요리·서빙(음식점, 카페, 패스트푸드 등)(14.4%) ▲서비스(청소, 전단지 배포, 휴게소, 주유소 등)(13.4%) ▲사무직(12.8%) ▲매장 관리·판매(12.5%)가 근소한 차이로 2~5위를 차지했다. 이어 ▲IT·인터넷(웹 기획, 코딩, 바이럴 등)(7.7%) ▲교육·강사(5.4%) △생산·건설·노무(4.5%) ▲문화·여가·생활(숙박, 레포츠, PC방 등)(3.5%) ▲간호·요양·의료(2.2%) ▲상담·영업(1.9%) ▲디자인(1.3%) ▲미디어(보조 출연, 촬영 보조 등)(1.0%) 순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아르바이트 근로자들의 월평균 소득은 74만8000원, 주당 근무 시간은 18.4시간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월평균 아르바이트 소득이 80만4000원으로 여성(69만9000원)보다 10만5000원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75만2000원 ▲50대 73만6000원 ▲60대 이상 73만8000원으로 40대의 월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직종별 소득을 살펴보면 ▲간호·요양이 월 평균 96만40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건설·노무(91만9000원) ▲운전·배달·물류(80만7000원) ▲매장 관리·판매(79만4000원) ▲사무직(75만9000원) ▲서비스(75만7000원) 순으로 이어졌다. 이어 ▲상담·영업(73만3000원) ▲IT·인터넷(69만4000원 ▲미디어(69만3000원) ▲디자인(67만3000원) ▲요리·서빙(66만6000원) ▲교육·강사(60만6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생활은 56만4000원으로 가장 낮은 월 소득을 기록했다.
주당 근무 시간이 가장 긴 업직종은 ▲간호·요양(24.9시간)과 ▲생산·건설·노무(22.7시간)로 업직종별 월 평균 소득에 이어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매장 관리·판매(21.6시간) ▲사무직(20.2시간) ▲상담·영업(19.3시간) ▲서비스(19.1시간) ▲요리·서빙(18.2시간) ▲미디어(17.7시간) 순으로 이어졌으며, 교육·강사(13.7시간)의 주당 근무 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장년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23.3%는 올해 법정 최저 임금인 9160원보다 낮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직종별로 살펴보면 ▲요리·서빙(35.6%) ▲매장 관리·판매(33.3%) ▲미디어(보조 출연, 촬영 보조 등)(33.3%)가 최저 임금보다 낮은 급여를 받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다.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도 절반에 가까운 45.4%에 달했다. 특히 ▲생산·건설·노무(71.4%) ▲미디어(66.7%) ▲서비스(64.3%) ▲IT·인터넷(62.5%)의 경우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작성했다는 응답자의 약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