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업준비] 코로나19 이후 유망한 상권은?
전통적인 상권 개념 파괴 가속화
- 코로나19 이후 상권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사이버 세상에서의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오프라인 상권 입지 조건만으로는 유망성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게 됐다. 전통적인 개념의 상권은 이미 코로나19 이전부터 변화해왔다. 온라인을 통한 구매와 정보검색이 활발해지면서부터다. 지금…
|
-
코로나19로 비접촉 결제수단 ‘제로페이’ 2년여 만에 가맹점 50만개 돌파
지난 4월 일평균 결제액은 34.1억원으로 ’19년 4월 대비 40배 증가
- 제로페이가 도입된지 1년 5개월만인 지난 5월 8일 가맹점 50만개를 돌파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결제수수료 절감을 위해 ’19년 1월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 제로페이가 2년차를 맞이해 가맹점과 결제가 대폭 증가하면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있다고 밝혔다.&nbs…
|
-
반려동물과 함께 힐링을~
이색반려동물카페
- 반려동물 천만시대!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그러나 사정상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우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런 반려동물 애호가들을 위한 곳이 바로 반려동물 카페다. 고양이는 물론 라쿤, 파충류까지 다양한 반려동물도 보고 차도 마실 수 있는 이색 카…
|
-
서울시, 지역과의 상생 통해 창업 꿈꾸는 청년사업가 모집!
넥스트로컬 2기 모집
- # 메이크푸드 임가영 대표(31)는 시장 축소로 경제적 어려움에 있는 논산시 강경젓갈시장을 살리기 위해 2030세대에게 주목받는 삼겹살과 함께 먹을 수 있는 “삼겹살 전용 젓갈 소스”를 개발했다. 강경 맛깔젓 상인회의 공동 공장에서 원료를 직공급 받고, 상인회 전체 매…
|
-
옷만들기를 좋아했던 청년의 놀라운 워라밸 창업이야기
카르마 고승희 대표
- 어릴 적 취미가 훗날 실제 직업이 되기는 쉽지 않다. 자신의 옷을 직접 만들어 입을 정도로 유난이 옷에 관심이 많았던 소년은 결국 훗날 옷 만드는 직업을 갖는다. 가족과 외식을 하기 위해 나가는 길에도 사람들의 옷차림이나 옷가게의 디스플레이를 관찰하고 식당에 가서도 음…
|
-
착한 선결제 캠페인 큰 호응
코로나19로 어려움 겪는 소상공인 위해 마련돼
- 전 지역에서 소상공인 매출감소세가 완화되고 관광·여가·숙박, 학원 등 교육서비스 분야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위축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나오고 있다.그 중 하나가 바로…
|
-
중기부-스타벅스, 대학가에 청년 위한 ‘창업카페’ 세운다!
청년 예비창업들의 스타트업 창업 전진기지로 10곳 지정
- 중소벤처기업부와 스타벅스커피코리아가 대학가에 청년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카페’ 10곳을 만든다. 중기부는 지난 7일 성수동 소재의 스타벅스 커뮤니티스토어 2호점에서 스타벅스커피 코리아, 청년창업네트워크 프리즘, 한국액셀러레이터협회와 ‘즐거운 청년 스타트업 창업 촉진’…
|
-
포스트 코로나19, 데이터·5G·AI 기반 비대면산업 육성
비대면화와 디지털화 대응에 중점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 경제 전반의 비대면화와 디지털 전환 등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 시켰다. 온라인 플랫폼 기반 온라인 교육, 비대면 의료, 원격근무 등 비대면 활동 속도와 범위가 급속히 증가하고 이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과 축적 및 활용 인프라와 초…
|
-
[마케팅] 음식점 매출이 떨어진다면?
티켓타임 노하우 9가지
- 과거 브런치 카페를 운영할 때였다. 주방 책임자가 바뀌었는데 서서히 매출이 줄어들기 시작해 평일 점심 매출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특별히 음식 맛이 달라진 것도 아니고, 주변에 경쟁사가 생겼거나 기업들의 이전이 있는 것도 아닌데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주방장이 바뀌면서 …
|
-
[프랜차이즈창업] 10년차 가맹점이 60%, 인생템 '지호한방삼계탕'
삼계탕 프랜차이즈 중 가장 많은 가맹점과 높은 매출
- 삼계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 시대 문헌에서조차 찾기 힘들다. 조선 시대의 닭 요리는 닭백숙이 일반적이었다. 일제강점기 들어 부잣집에서 닭백숙, 닭국에 가루 형태의 인삼을 넣는 삼계탕이 만들어졌다. 지금의 삼계탕 형태는 1960년대 이후,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 이후…
|